산업통상자원부 비영리 법인설립 고유번호 제227-82-11414호
소부장미래포럼

뉴스레터

NL-289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2024-09-07 14:10
조회
106
9/7(토) 좋은 아침입니다. 

=“트럼프 이기면 韓 반도체 수혜, 해리스 이기면 車·방산 호조”
11월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 우리나라 바도체 기업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입니다. 다만 트럼프 2기 정부가 수립되면 국내 자동차와 방위산업 수출은 난관에 봉착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 대선이 가져올 국제통상질서 변화와 대응' 정책세미나에서 이 같이 전망했습니다.

="최고의 HBM4 출시"…삼성, TSMC와 맞손

삼성전자와 대만 TSMC가 6세대 HBM4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습니다. 엔비디아, 구글 등 대형 고객사가 원하는 '맞춤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파운드리 라이벌과 협업도 마다하지 않기로 한 것입니다. 댄 코흐파차린 TSMC 에코시스템 및 동맹관리 헤드는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타이완 2024’에서 “삼성전자와 버퍼리스(buffer-less) HBM을 공동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TSMC와 삼성전자가 HBM 협력을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인텔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 중단해야" 씨티그룹 권고 나와, 수익성 부담 가중
미국 씨티그룹은 보고서를 통해 일텔이 실적 부진과 재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에서 매출을 거두는 시기가 늦어질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더 키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TSMC와 서버용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력을 높이는 데도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美, 양자·차세대반도체 수출통제 추진…韓, '허가면제'서 빠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양자 컴퓨팅, 첨단반도체 제조 등의 핵심 신흥기술을 수출통제 대상으로 지정하는 임시 최종규칙(IFR)을 발표했습니다. 
BIS는 첨단 반도체 장치 생산에 필수적인 도구 및 기계,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는 고성능 컴퓨터 반도체를 생산하거나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인 GAA(게이트올어라운드) 기술, 금속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통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중국을 비롯한 러시아, 이란 등 적성국을 겨냥한 것으로 한국은 이번 통제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용인시 2027년 반도체 생산 목표…인허가 과정 3개월 줄인다
용인시가 당초 2027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했던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생산라인을 위해 인허가 처리 과정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단지 내 개별필지에서 접수된 건축허가 건을 신속하게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인허가 소요기간을 1개월에서 3개월 가량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싱가포르, 포괄적전략동반자 격상 합의…반도체 협력 강화
인도와 싱가포르가 외교 관계 격상에 합의하고 반도체 분야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양국은 반도체와 5세대 이동통신, 인공지능(AI), 사이버 보안 등 디지털 기술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관련 외신] Singapore, India deepen cooperation in semiconductor sector, digital technology

=엔비디아, 일본 AI유니콘에 수백억 베팅…대주주 됐다
엔비디아가 일본 AI 스타트업 사카나AI에 200억엔을 투자했습니다. 사카나AI는 생형형 AI 개발 기업입니다. 올해 1월 NTT, 소니, 코스라 등으로부터 45억엔을 투자 받았습니다. 현재 기업가치 평가액은 11억달러입니다.

=美 새너제이에 '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 개소…美 진출 지원
산업부는 미국 새너제이에 '한미 인공지능(AI) 반도체 혁신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습니다. 혁신센터에서는 수요와 연계한 기술개발, 검증/인증 자문, 홍보/네트워킹 등 한국 시스템 반도체 관련 기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미국은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으로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설계자산(IP), 디자인하우스 등 반도체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미국 시장 진출이 필수적입니다.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 전담 AS팀 창설…"고객만족 극대화"
한미반도체가 SK하이닉스 전담 AS팀을 신설했습니다. 고객사의 다양한 요청에 더욱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40명 이상의 전문인력으로 구성했습니다.

=中에 쫓기는 韓 OLED… 발광재료 구매액 7.8% 감소

중국의 OLED 추격이 거세지면서 삼성과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패널 제조사들의 발광재료 구매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한국 OLED 패널 업체의 올해 상반기 발광재로 구매액은 4억9500만 달라로 51.2%의 점유율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중국 업체는 7.8% 증가한 4억 710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점유율 48.8% 입니다.

=日 정부-도요타·닛산 등 업체, EV전지 양산에 9조원대 공동 투자
일본 도요타, 닛산, 마쓰다, 스바루 등 자동차 4개사와 배터리 업체 등이 일본 내 EV용 배터리 공급망 강화를 위해 2028년까지 1조엔(9조3000억원)을 투자합니다. 일본 정부는 여기에 3500억엔에 이르는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투자로 양산체제가 강화되면 일본의 배터리 생산증력은 현재 80GWh에서120GWh로 50% 늘어나게 됩니다.

=삼성·하이닉스 임원 출신 반도체 전문가 최진석씨, 기술 유출 혐의로 구속
삼성전자의 핵심 반도체 기술을 중국에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는 최진석 전 SK하이닉스 부사장이 구속됐습니다. 서울중앙지법은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습니다.

=아바코 "차세대 전지 공정 장비 개발 순항"


[글로벌 소부장 동향]
=Adani-Tower JV To Build $10 Bn Semiconductor Facility In Maharashtra

인도 타워 세미컨덕터와 아다니 그룹이 100억 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합작법인을 설립했습니다.

전체 0

(사)소부장미래포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죽전로 29 포레스트프라자 6층
대표자 : 이재훈
Tel : 031-261-3038
E-MAIL : mpeoffice@mpeff.org
COPYRIGHT © 2024 MPE Future For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