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비영리 법인설립 고유번호 제227-82-11414호
소부장미래포럼

뉴스레터

NL-302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2024-10-01 08:10
조회
111
10/1(화) 좋은 아침입니다. 

# 中 "엔비디아 칩 쓰지마" :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 AI 칩의 '사용 금지령'을 내렸습니다.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규제를 피해 사양을 낮춘 중국향 H20 마저도 막아 버린 것입니다. 지역 무역단체들에게도 지침을 하달했습니다. 우연 이었을까요. 화웨이는 최근 엔비디아에 대적할 AI칩 '어센드910C' 샘플을 자국 내 주요 고객사에 공급을 시작했습니다. 양산라인에 적용하고 검증을 거쳐 엔비디아의 빈자리를 채우겠다는 포석입니다. 글로벌 공급망 시장이 자국중심주의로 더욱 강화되는 모양새 입니다. 중국발 공급망 공급은 이미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바이도 등에서 거세지고 있습니다. 중국산 제품이 각국 시장을 장악하고 산업생태계를 무너뜨린다는 비난이 쇄도하고 있지만 시장은 강자의 논리로 움직입니다. 그리고 시장은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일본 기업들이 국내 소부장 산업의 틈새를 공략하는 것처럼, 공급망이 불안정한 국가는 언제든지 강자에게 자리를 내줄 수밖에 없습니다.

=판교에 'AI 반도체 개발 전주기' 지원 인프라 구축
215억원이 투입된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가 판교에 문을 열었습니다. 센터는 반도체 칩 설계부터 상용화까지 원스톱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관련 기업을 밀착 지원할 계획입니다. 팹리스 기업들은 검증, 계측장비를 통해 테스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몸값 4조' SK스페셜티, 한앤컴퍼니로…"SK 리밸런싱 가속"
SK그룹이 반도체 특수가스 세계 1위 기업인 SK스페셜티를 한앤컴퍼니 매각합니다. SK스페셜티는 SK㈜의 100% 자회사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과정에서 쓰이는 특수가스를 생산합니다. 삼불화질소(NF3)와 육불화텅스텐(WF6) 제조 분야에선 글로벌 점유율 1위입니다. 지난해 매출액 6817억 원, 영업이익 147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업계는 SK스페셜티 지분 100%의 가격을 4조원 안팎으로 추산했습니다.

[일본 반도체 3題]
=日 후지필름, 1나노 첨단 반도체 소재 공장 짓는다
일본 후지필름이 시즈오카현에 위치한 시즈오카 공장에 약 130억엔을 투입해 내년 가을까지 반도체 소재 공장을 구축합니다. 후지필름은 이 공장에서 1나노대 반도체 소재 포토레지스트의 최첨단 제품을 개발하고 시험 제작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파운드리 업계 1위인 대만 TSMC는 2㎚ 제품의 양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1.6㎚ 제품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일본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 역시 내년에 2㎚ 제품을 시험 생산하고 2027년부터 양산에 돌입한다는 목표를 내놨습니다.
 =캐논, 5나노 반도체 장비 美 TIE 공급
일본 캐논이 오는 13일 미국 텍사스전자공학연구소에 반도체 제조용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시스템을 공급합니다.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는 ASML EUV 노광장비처럼 5나노 이하 초미세 회로를 웨이퍼에 찍어내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고도로 압축한 광원을 사용하지 않는 만큼 기존 ASML 장비보다 전력소모가 90% 가량 적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설명입니다.
=日 기업에 먹히는 '알짜' 반도체·2차전지 소부장

일본 소부장 기업들이 한국 반도체, 2차전지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국내 알짜 소부장 기업에 투자하거나 대기업을 고객사로 확보,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불화수소 전문기업인 다이킨은 올해 공정용 부품인 'O링'을 생산하는 국내 화학소재 기업 씰테크 지분 100%를 인수했습니다. 씰테크는 2022년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에 O링을 공급한 기업입니다. 또한 산케전기는 국내 전력반도체 제조기업인 EK를 19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도요타쓰우쇼는 삼아알미늄에 10.2% 지분투자를 했습니다. 일본기업의 對한국 투자는 2019뇬 238건,, 14억3000만 달러 수준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128건 29억 달러로 급증했습니다.

=日 두계단 상승했는데…K반도체 R&D '세계 최하위'

국내 반도체 기업의 매출 대비 R&D 비용 지출이 전세계 최하위권이라는 분석입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가 발간한 '2024 산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반도체 산업의 매출대비 R&D 비중은 9.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위는 미국(19.3%), 유럽(14%), 일본(12%), 대만(11%)에 밀렸습니다. 미국의 수출통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7.6%)만이 우리나라보다 R&D 지출 비중이 낮았습니다. 이는 정부의 보조금 등을 등에 없은 글로벌 기업들이 R&D 지출을 대폭 확대했기 때문을 분석됐습니다. 특히 TSMC는 지난해 R&D에 7조5400억원을 투입했는데 이는 대만 증권거래소 상장사 전체R&D 비용의 25.8%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제조 중심으로 쏠려 있고 매년 시설 투자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정부 보조금 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쟁력이 빠르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인텔 파운드리 부진으로 갈피 잃었다, "사업 중단이 더 나은 선택" 평가 나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씨티그룹 보고서를 인용해 "인텔은 파운드리 사업을 그만두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장기 시장 전망과 미국 정부의 목표를 고려한다면 파운드리 역량 강화는 필수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주주가치와 성공 가능성을 고려하면 사업을 추진할 이유는 불분명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인텔은 2022년 영업손실 규모는 52억달러, 2023년 70억 달러, 올해 상반기 53억 달러로 적자폭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파운드리 사업 성공 확률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TSMC, 역대 최대 매출…삼성전자 파운드리는 부진 지속
올해 TSMC 3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7.6~11.4% 증가한 30조2000억원~31조3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TSMC의 호실적은 미국 엔비디아의 AI칩 H100, 블랙웰 등 출하가 지속되고 3/4/5나노 등 첨단 공정의 가동률리 100%에 달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반면,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부문은 올 3분기에도 수천억원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증권가는 4000억~500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中 "엔비디아칩 사지마"…美반도체 퇴출 속도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AI칩을 구매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습니다. 자국내 공급망을 강화하고 미국 기업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블룸버그통신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자국 기업에 엔비디아 칩을 구매하지 말라고 권고하는 '창구 지침'을 하달 했다고 보했습니다. 구매금지 대상 반도체는 H20 모델입니다.
[관련 기사] 
화웨이 차세대 AI 반도체 출격, 미국 규제 대응해 엔비디아 '빈 자리' 노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화웨이가 신형 인공지능 프로세서 '어센드910C' 샘플을 주요 고객사에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어센드910C는 현재 주력으로 판매하는 어센드910B와 비교해 연산성능과 전력효율이 개선된 제품으로 샘플 공급은 기존 엔비디아로 제품을 받은 고객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국 대형 IT기업이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화웨이 반도체를 사용하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반도체 굴기에 속도를 붙이는 모양새 입니다.
[관련 외신] Here's Why China is Urging Its Companies to Forgo Nvidia's Chips

=정철동 LGD 사장, 中 광저우 LCD 공장 매각으로 2조 실탄 확보… “급한 불 껐지만 진검승부는 지금부터"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 LCD 공장 매각을 성공적으로 매듭 지으면서 2조원의 경영자금을 확보해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사업에 있어 중국과 삼성이 8.6세대 OLED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LG는 아직 명확한 입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확보한 2조원을 8.6세대 공장 투자에 활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글로벌 소부장 동향]
=Tokyo Electron to deliver equipment for India’s first semiconductor fabrication facility

일본 도쿄일렉트론이 인도 타타일렉트로닉스에 반도체 제조장비를 공급했습니다. 이 공장은 대만 PSMC와 합작한 시설로 구자라트주 돌레라에 위치했습니다.
전체 0

(사)소부장미래포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죽전로 29 포레스트프라자 6층
대표자 : 이재훈
Tel : 031-261-3038
E-MAIL : mpeoffice@mpeff.org
COPYRIGHT © 2024 MPE Future For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