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비영리 법인설립 고유번호 제227-82-11414호
소부장미래포럼

뉴스레터

NL-419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2025-04-04 21:44
조회
55
4/5(토) 좋은 아침입니다. 

=트럼프 "반도체 관세도 곧 시작"…한국, 어쩌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분야 관세 도입에 대해 "아주 곧"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이 같은 관세 예고는 국내 반도체 대표주인 SK하이닉스의 주가를 4.21% 끌어내렸습니다. 삼성전자도 개장과 함께 2.43% 하락했습니다. 엔비디아(-7.77%), 마이크론테크놀로지(-16.09%), 브로드컴(-10.51%) 등 반도체주가 줄줄이 내린 결과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9.88% 폭락했습니다.
[관련 기사] 인텔, TSMC와 손잡는다… 미국 반도체 산업 재편 신호탄
미국이 반도체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인텔과 TSMC가 합작법인 설립에 잠정 합의했다고 IT전문 매체인 디인포메이션이 보도했습니다. TSMC는 합작사 지분 20%를 확보하고 그 대가로 인텔 쪽에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과 생산 인력 교육 등을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매체는 이번 협력의 배경에 미국 백악관과 상무부의 압박이 있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관련 기사] 韓 반도체 '첩첩산중'…'관세' 넘으니 이번엔 '보조금 재협상'

=“트럼프가 100년 전 악몽 되살려... 美·세계 경제 망칠 것”
미국 경제석학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이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경제를 끌어내릴 위험이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국발 대공항 연구의 권위자인 배리 아이컨그린 uc커글리 교수는 "잘못된 정책의 결과가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며 지난 미국 대공항이 관세경쟁에서 시작됐음을 경고했습니다. 100년전 유럽산 농산물이 대거 유입되자 농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미국으로의 수입품에 관세율을 6%P 올렸고 이에 대응해 상대국이 경쟁하듯 관세를 인상하면서 무역이 줄고 글로벌 경제가 식었습니다.
[관련 기사] 하루에 美·日·유럽 시총 5000조원 증발... “반도체 주 추가로 20% 하락 우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미국과 유럽, 일본의 중시에서 하루만에 5000조원이 사라졌습니다. 2020년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미국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1679달러(4%) 하락했고, 일본 니케이 평균주가는 3% 하락했습니다. 유럽의 주요 600개 기업의 주가 동향을 반영하는 ‘STOXX 600’도 3% 하락했습니다.
[관련 기사] 베트남 상호관세 46%에… 한국의 對아세안 수출도 ‘흔들’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한국 수출 지형이 급변할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우리의 핵심 수출지역인 베트남 등 아세아에 대해 미국이 한국보다 더 높은 관세율을 부과하면서 한국 생산 중간재-->아세안 수출 및 제품완성--> 미국 등 주요국 수출이라는 가치사슬을 유지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아세안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소부장 기업들의 경영전략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기사] ‘삼성-LG 생산기지’ 베트남에 46% 관세, 스마트폰-가전 초비상

=트럼프 “尹 탄핵 해결되면 이야기하고 싶다”..플라이츠 전언
트럼프 대통령 측근인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 부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 문제가 해결한다면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다는 의견을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UMC, 싱가포르 공장 완공…내년 22㎚ 반도체 양산 시작
대만 파운드리 UMC가 7조3000억을 투입한 싱가포르 공장을 완공했습니다. UMC는 내년부터 통신, 자동차, IoT, AI 분야 반도체 양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싱가포르 신공장이 2단계 투자 계획 중 1단계만 완료된 것으로, 월간 웨이퍼 생산 기준 3만장으로 1차 가동을 개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향후 2단계 투자를 단행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화웨이, R&D에 35조원…美제재에도 더 강해졌다
한국 언론이 중국 화웨이 본사를 탐방했습니다. 언론에 공개하지 않았던 화웨이가 이례적으로 한국언론에 본사의 문을 열었습니다. 미국의 대중국 수출통제가 강화되자 보란듯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화웨이는 지난해 R&D 투자로 35조9000억원을 투입했습니다. 전체 매출의 20% 수준입니다. 매출은 삼성전자자의 절반 수준인데 R&D 투자 규모는 비슷한 수준입니다.

='끝까지 간다' 삼성디스플레이, 영업비밀 침해로 BOE 美 제소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 BOE와 BOE 계열사 7곳을 상대로 OLED 영업비밀 침해 협의로 미국 텍사스동부법원에 제소했습니다. 삼성은 BOE가 자사 지식재산권(IP) 무단 도용을 중단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소송은 ITC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업비밀 침해 관련 소송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3년 11월 ITC에 BOE를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한 바 있습니다. ITC 영업비밀 침해 건은 5월 1일 예비판정이 나올 예정입니다.

=산업부, 美 관세 직격탄 '5개 업종' 릴레이 간담회
산업부가 미국 상호관세 부과 조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5대 업종에 대한 릴레이 대책회의를 개최합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가전/디스플레이, 기계업종을 시작으로 7일에는 이차전지, 석유화학, 섬유업종 주요 기업들과 대책회를 갖습니다. 이들 5개 업종의 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산업계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이준혁 동진쎄미켐 '회장' 승진, 계열 분리 속도
전체 0

(사)소부장미래포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죽전로 29 포레스트프라자 6층
대표자 : 이재훈
Tel : 031-261-3038
E-MAIL : mpeoffice@mpeff.org
COPYRIGHT © 2024 MPE Future For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