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비영리 법인설립 고유번호 제227-82-11414호
소부장미래포럼

뉴스레터

NL-451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2025-05-24 00:56
조회
58

5/24(토) 좋은 아침입니다. 
             평안한 주말 보내십시요 

=젠슨 황 '독무대'였던 컴퓨텍스…'원팀'으로 똘똘 뭉친 대만
나흘간의 일정을 끝으로 대만 '컴퓨덱스 2025' 전시회가 23일 막을 내렸습니다. 전 세계 언론들은 이번 전시회를 놓고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만드는 '팀 타이완'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젠슨 황으로 시작해 젠슨 황으로 끝났다'고도 했습니다. 예전과 달라진 대만 IT업계의 위상, AI로 똘똘뭉친 350개 대만 파트너십으로 인해 엔비디아가 AI에서 세계 중심이 되겠다고 글로벌 시장에 선언한 이벤트로도 보입니다.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업체는 사실상 컴퓨덱스는 그들(대만)만의 리그로 전시에 참가한 다른 국가 업체들은 소외 당하는 느낌이 없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행사는 전 세계 34개국 약 1400개 기업이 참가해 4800개 부스를 꾸렸습니다.

=[韓 반도체 해법②] TSMC 넘어선 AI 거물...AI서버 최강자 폭스콘
세계 전자제품 위탁생산 전문업체 대만 폭스콘이 급부상했습니다. 우리에게는 아이폰 제조업체로 알려져 있지만 AI서버 생산 세계 1위에 이어 자동차 산업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류양웨이 회장은 컴퓨덱스 기조연설에서 "폭스콘은 이제 단순 제조업체를 넘어선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5.2% 증가한 2조1300억 대만달러(97조원)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TSMC 매출은 8684억 대만달러(39조원) 였습니다. 폭스콘의 성장 요인은 1)고객 맞춤형 유연성 2)기술 투자 및 사업 다각화로 꼽힙니다.
=SK하이닉스, 美 정부에 "반도체 관세, AI 리더십 저해" 의견서
SK하이닉스가 미국 상무부에 관세정책이 미국의 반도체 제조 및 AI리더십 확대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부정적 입장의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 특히 웨이퍼에 광범위하거나 높은 관세 또는 기타 제한을 부과하면 비용이 상승하고 미국 기업에 대한 공급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의견서에서 "앞으로 미국 주요 기업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HBM과 DRAM 모듈, SSD 공급업체로서 미국의 AI 생태계와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SK하이닉스가 미국의 AI 리더십과 AI 인프라 구축 노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어떤 행동도 피하기 위해 산업안보국이 목표 지향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 달라"고 밝혔습니다.

=네덜란드 외무장관 "中으로부터 반도체 규제완화 요청 받아"
중국을 방문 중인 카스파르 펠트캄프 네덜란드 외무장관은 중국 왕이 외교부장과의 회담 이후 "중국 측으로부터 반도체 관련 수출제한 조치를 완화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펠트캄프 장관은 네덜란드는 국가안보와 자율적인 허가 결정권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이해진-젠슨 황 회동…네이버, 태국어 LLM·관광용 AI 에이전트 개발 시동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대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났습니다. 양사는 동남아 소버린 AI 사업 확대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엔비디아가 마련한 행사에서 태국 AI·클라우드 플랫폼 기업과 손잡고 태국어 기반 거대언어모델(LLM)과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 협약도 체결했습니다.

="1분기 소형 OLED 패널 출하, 역대 1분기 최대…中 업체들 성장

유비리서치는 1분기 소형 OLED 출하량이 2억4300만대로 1분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보다 10.7% 증가했지만 전 분기보다는 14.3% 감소했습니다. 삼성과 LGD 출하량이 감소했으며 중국 패널 업체들의 출하량도 전 분기대비 줄었습니다. 중국 1위 업체 BOE는 애플 아이폰17 프로용 패널 승인을 위해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인증이 통과되면 올해 약 5000만대의 아이폰용 패널을 생산할 전망입니다.

=엔켐 "BYD 밸류체인 진입, 핵심 소재사 2곳 전략적 지분 투자"엔켐이 중국 사업 강화를 위해 이차전지 핵심소재 중국 기업 2곳과 전략적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엔켐이 투자를 단행한 기업은 ‘TCFG(천성불규 청두 과학기술유한공사)’, ‘회창홍푸 첨단신소재유한회사’입니다. TCFG와는 5%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으며 회창홍푸는 매출 실적과 연계해 최대 30%까지 단계적 지분 확보가 가능한 조건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전해액 첨가제 사업 강화, 중국 내 중서부 거점 확보, ESS용 전해액 공급확대 등 효과가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전체 0

(사)소부장미래포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죽전로 29 포레스트프라자 6층
대표자 : 이재훈
Tel : 031-261-3038
E-MAIL : mpeoffice@mpeff.org
COPYRIGHT © 2024 MPE Future For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