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비영리 법인설립 고유번호 제227-82-11414호
소부장미래포럼

뉴스레터

NL-484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2025-07-11 23:27
조회
7
7/12(토) 좋은 아침입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AI 수요 폭증, 4년간 첨단 반도체 생산능력 69% 증가 月 1100만장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최근 발간한 '300mm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웨이퍼 생산능력은 지난해 말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에 따라 월간 웨이퍼 생산능력은 2028년 사상 최대치인 1110만장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2나노 이아 웨이퍼 장비에 대한 투자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부문에 대한 투자 규모는 지난해 190억 달러에서 2028년 430억 달러로 2배 이상 급증해 무려 120%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반도체 패권 잡으려는 미국…R&D 투자 '세계 1위'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가 발간한 2025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반도체 산업은 지난해 627억달러(88조원)의 R&D 투자에 나섰습니다. 사상최대인 전년보다 5.7% 증가했습니다. 미국 반도체 산업의 R&D 투자 규모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글로벌 반도체 기술 패권경쟁의 격화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SIA의 전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은 지난 2022년 18.7%, 2023년 19.5%에 달했는데, 지난해도 역대급 수준이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중국(9.2%)은 물론 반도체 공급망의 주요국 한국(11.8%), 대만(11.5%), 유럽(11.4%), 일본(5.7%)을 크게 압도했습니다.
=[관련 기사] 전쟁터 된 메모리 시장…쫓기는 K-반도체

글로벌 메모리 시장에서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마이크론과 중국 CXMT가 빠르게 따라 붙고 있습니다. 핵심은 차세대 시장인 HBM4에서 누가 먼저 선점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중국의 물량공세, 마이크론의 초강수 공격경영에 국내 기업의 대응경쟁력 불안해 보입니다.

="중국행 앞둔 엔비디아 CEO, 트럼프와 백악관 회동"
중국 방문을 앞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했습니다. 두 사람이 어떤 내용을 논의했는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젠슨 황 CEO는 대중국 수출통제에 대한 수출완화를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의 규제로 오히려 중국의 자급체제가 더 강화됐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미국의 규제로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사실상 밀려나게 됐고, 이에 따라 이번 분기 매출 손실은 약 80억 달러(11조원)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구조조정 채찍' 립부 탄, "인텔 10대 반도체 기업 아니다"
"더 이상 인텔은 10대 반도체 기업이 아니다". 립부 탄 인텔 CEO는 경쟁기업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과거를 잊고 겸손한 자세로 '후발주자'임을 자처해야 한다며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그는 최근 사내 대화에서 "인텔의 부활은 마라톤과 같다"며 "기업 문화를 혁신하고 업계 요구에 겸손히 귀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탄 CEO는 향후 사업 방향에 대해 "소형 기기에 AI를 제공하는 엣지(Edge)와 에이전틱 AI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나마이크론, 지주사 전환...하나반도체홀딩스 중심 계열사 재편
하나마이크론이 지주사로 전환하고 하나반도체홀딩스를 중심으로 계열사를 재편합니다. 하나마이크론과 하나머티리얼즈 상호출자 구조도 해소하고 아산본사와 베트남 법인은 인적분할 방식으로 새로운 회사로 각각 분리할 계획입니다. 회사 측은 기업설명회를 통해 2030년 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기업 5위, 매출액 25억 달러 달성이라는 장비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저스템, 반도체 생산비 줄이는 'AI 기반 습도제어 솔루션' 개발
반도체 습도제어 장비기업인 저스템이 AI기반 정밀제어 시스템을 탑재한 신제품 'AIP-JFS'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회사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신제품을 7월말부터 테스트 및 공급할 계획입니다.

=서플러스글로벌, '2025년 무역안보의 날' 산업부 장관 표창 수상
서플러스글로벌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 무역안보의 날 기념 행사에서 전략물자 수출관리 유공 부문 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SK온, 북미 LFP ESS 시장 진출 본격화…엘앤에프와 ‘맞손’
SK온이 미국 ESS 시장을 겨냥한 리튬인산철 배터리 사업을 본격화 합니다. SK온은 엘앤에프와 북미 지역 LFP 배터리용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양사는 공급 물량과 시기 등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동시에 중장기 협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포스코퓨처엠 "일본 메이저 배터리사와 음극재 공급계약"
포스코퓨처엠이 일본 배터리사와 음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세종 공장에서 천연 흑연 음극재를 생산해 일본에서 제조되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다만 구체적인 계약대상, 기간 규모는 양사 합의로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미중 갈등 와중에 중국이 수출 통제를 통해 흑연을 무기화하겠다는 의도를 공공연히 드러내면서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상품은 한국은 물론 해외 배터리사 등 고객에게 중국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체 0

(사)소부장미래포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죽전로 29 포레스트프라자 6층
대표자 : 이재훈
Tel : 031-261-3038
E-MAIL : mpeoffice@mpeff.org
COPYRIGHT © 2024 MPE Future For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