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비영리 법인설립 고유번호 제227-82-11414호
소부장미래포럼

뉴스레터

NL-513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2025-08-30 01:03
조회
19
8/30(토) 좋은 아침입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TSMC 2나노 시험생산 수율 60% 달성…4분기 양산 본격화"
대만 TSMC가 2나노 반도체 양산 수율이 60%에 도달했다고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이 보도했습니다. TSMC는 올해 4분기 북부 신주과학단지 바오산 20팹과 남부 가오슝 22팹에서 양산할 2나노 시험 생산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습니다. TSMC는 지난 4월부터 2나노 제품 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해당 웨이퍼 생산량을 매달 4만5000장~5만장, 2026년에는 10만장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日 라피더스, 2나노 생산 전환…삼성전자 경쟁자 될까
일본 라피더스가 출범 3년만에 설계를 마치고 실제 생산 공정에 들어가는 단계의 2나노 칩 테이프 아웃에 들어갔습니다. 라피더스는 풋카이도 치토세시에 있는 IIM-1에서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트랜지스터 구조의 테스트 칩의 제작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2027년 대량 생산에 나서는 것이 목표입니다.

=AI·반도체·이차전지 육성에 ‘100조+α’ 지원한다
정부가 AI와 반도체, 이차전지 등 미래 전략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5년간 100조원 이상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합니다. 내년 국민성장펀드 조성 등 신산업 육성에 9조1000억원을 투입합니다. 국민성장펀드 100조원+α는 산업은행이 운영하는 첨단전략산업기금 50조원과 민간 자금 50조원을 활용해 조성됩니다. 첨단전략산업기금 50조원은 정부가 상환을 보증하고 산은이 발행하는 채권인 ‘정부보증 기반 기금채’를 재원으로 할 계획입니다. 민간 자금 50조원은 일반 국민 공모 자금과 연기금, 금융회사 출자금 등으로 구성됩니다.

=中 반도체지수 3% 급락…'새 대장주' 캠브리콘 장중 8%↓
중국판 나스닥인 과학창업판스타50 지수가 개장 후 초반 거래에서 3% 이상 하락했습니다. SMIC는 장중 한때 5.84%까지 떨어진 뒤 4% 안팎 하락한 수준에서 거래됐으며, 캠브리콘은 한 8.67%까지 급락했습니다. 중국판 엔비디아로 불리는 캠브리콘 주가는 지난달 134%나 급상승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 하락은 일시적인 차익 실현성 매도에 속에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젠슨 황 "AI 수요 폭발적"…삼성·SK도 '유폭' 가능할까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27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발표에서 "AI 인프라 시장은 앞으로도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오픈AI 샘 울트먼 CEO가 "우리는 AI 버블 속에 있다"고 밝힌 것과 정반대의 견해입니다. 젠슨 황은 "AI 시대가 도래하며 로보틱스와 산업 자동화 같은 완전히 새로운 산업들이 열리고 있다"며 "10년 내내 주 빠르고 본질적인 성장 기호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소부장 산업은 AI 시대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습니까.
[관련 기사] “AI PC 시장, 전체 PC 시장의 31%… 7780만대 규모 전망”

가트너는 올해 PC 시장은 'AI PC'로의 전환이 본격화하면서 전체 PC 시장에서 AI PC 시장의 비중이 31%까지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04% 증가한 것으로 올해 전체 PC 시장에서의 AI PC 점유율은 지난해의 15.6% 대비 15.4%p 오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품목관세 인상·확대한다…반도체·車부품·로봇장비 거론
트럼프 대통령이 품목별 관세를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주장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50%로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반도체, 구리, 자동차 부품, 로봇 장비 등으로 고율 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도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관세 적용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들을 포함한 회의를 연 3~4회 진행할 예정이며 9월 중순자동차 부품, 10월 말에는 구리 제품이 대상이 될 것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스타트UP] 美·日 장악한 반도체 장비 시장…오스, ‘원자층 식각 장비’로 틈새 노린다
플라즈마와 원자층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제조공정 장비를 제조하는 스타트업 '오스'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이응구 오스 창업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10년 이상 엔지니어로 근무했습니다. 오스는 원자층 식각(ALE) 장비 시장에서 기회를 보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내년까지 아이폰 패널 공급사 1위 굳건"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아이폰17 시리즈 패널 7800만대를 출하해 전체 출하량이 1억25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은 애플의 패널 공급 점유율 1위 기록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에도 아이폰16 시리즈에 6380만대, 전체 아이폰에 1억2400만대를 출하했습니다. 작년과 비교하면 올해 물량은 각 1420만대(22%), 100만대(1%) 늘었습니다. 애플의 아이폰 패널 2위 공급사인 LG디스플레이도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의 올해 예상 물량은 아이폰17 시리즈 4560만대, 전체 7510만대로, 작년(각 4200만대·6742만대)보다 360만대(9%), 768만대(11%)씩 증가했습니다.

=중국에 LCD 밀렸는데…K-디스플레이, OLED는 잡았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한국 기업의 OLED 시장 점유율이 65.5%로 지난해 동기대비 4.5%p 올랐고 중국은 34.3%로 전년대비 3.9%p 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중국 업체들은 정부 보조금을 바탕으로 값싼 LCD 제품을 대량 생산하면서 전 세계 패널 시장을 잠식해왔습니다. 지난 1분기 글로벌 LCD 시장은 중국 66.52%로 전년 대비 4.6% 상승했습니다. 반면 한국 점유율은 8.9%로 전년 대비 1% 하락했습니다. 다만 OLED 분야에서는 한국 기업이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 잠식을 저지하면서 전체 점유율도 1분기 30.6%로 전년 대비 2.2%p 올랐습니다.
전체 0

(사)소부장미래포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죽전로 29 포레스트프라자 6층
대표자 : 이재훈
Tel : 031-261-3038
E-MAIL : mpeoffice@mpeff.org
COPYRIGHT © 2024 MPE Future Forum. All RIGHTS RESERVED.